★·····★

[스크랩]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추곡저 2015. 6. 13. 12:19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피아제 이론의 중요개념


(1) 도식(schema)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전체적 윤곽

-빨기/잡기 등 반사적인 행동도식


(2) 적응(adaptation)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적절하게 도식을 변화사키는 것

-적응은 욕구충족을 위한 것이며, 동화/조절을 통해 진행된다.


(3) 동화(assimilation)

-환경의 요구와 상관없이 기존의 도식을 사용하는 것

-유아는 음식뿐 아니라 뭐든지 입으로 가져간다. 이를 통해 사물을 이해한다.

-환경에 기존도식으로 자기를 맞춰보려고 한다.


(4) 조절(accomodation)

-기존 도식으로 사물을 이해할 수 없을 때, 기존의 도식을 변경시키는 것.

-물을 모두 ‘바다’라고 하던 아이가, 누군가의 도움으로 ‘강’이란 개념을 발전시킨다.


(5) 평형(equilibration)

-동화와 조절의 균형

-하늘에 날아다니는 것은 모두 ‘새’라고 생각(->동화)하던 아이가 비행기를 보고, 그 모양과 크기가 새와 다르자 기존 도식을 바꾸어야 하는데, 이때 조절과정에서 불균형이 발생한다. 누군가의 도움으로 ‘비행기’란 개념을 알게 되고, 새와 비행기와의 차이를 알게 되면 평형상태로 돌아간다.


2. 인지발달 단계


질적으로 서로 다른 단계들이 순서대로 진행되며, 단계가 높아질수록 복잡성이 증가한다.


(1)감각운동기; 0-2년

감각으로 오는 자극에 대한 운동적 반응 시기


①반사운동기; 1개월

-반사능력으로 외부세계 이해

-빨기반사->잡기반사

-자신과 외부세게의 구분이 없다.

  

②일차순환반응기; 1-4개월

-영아의 관심은 외부대상이 아니라 자기 신체/신체주변에 있다.

-우연한 행동을 통해 재밌는 결과를 초래하면 계속 그 행동을 반복함.

-손가락 빠는 것->눈으로 흥미있는 것을 보면서 잡으려고 팔을 뻗침(보기-잡기반사 협응)

③이차순환반응기; 4-8개월

-관심이 신체 외부에 있어서 외부 대상과 사건에 열중함

-딸랑이를 흔드는 행위 등 흥미로운 결과를 유발하기 위해 반복행동

-목표지향적이 되기 시작하며, 외부 사건이 자신의 통제아래 있음을 이해함.


④이차순환반응의 협응기; 8-12개월

-지능이 발달하기 시작함-->인과관계에 대한 개념이 발생.

-방해물 치우기-성냥갑 잡기 도식의 협응

 (목표가 되는 도식에 도달하기 위해 다른 도식을 이용할 줄 알게 됨)

-대상영속성 개념을 갖기 시작함.

(물체가 영아의 눈에서 사라져도 물체가 없어진 것이 아님을 인식함)


⑤삼차순환반응기; 12-18개월

-실험적 사고에 열중함: 장난감 북을 처음엔 북채로 쳐보지만, 다음에는 어떤 소리가 나는지 보려고 연필이나 망치로 두들겨본다.

-영아가 걷기 시작하면서 고도의 활동성을 갖고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됨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수단을 발견함; 팔이 안 닿는 물건은 막대기를 이용.


⑥정신적 표상: 18-24개월

-눈앞에 없는 사물을 정신적으로 그려내기 시작함으로서, 시행착오 없이 사전에 생각을 한 뒤에 행동함.

-성냥갑에서 구슬을 꺼낼 때, 입을 몇 번 벌려보고나서 성냥갑을 열고 구슬을 꺼냄

-지연모방: 어떤 행동을 목격한 뒤, 곧장 모방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뒤 그 행동을 재현함.(형들이 욕설하는 걸 듣고, 나중에 손님들 앞에서 욕설을 함, 발 동동구르며 떼스는 것도 나중에 집에서 모방할 수 있음-모델의 행동을 상징화하여 기억하다가 나중에 모방)



(2) 전조작기; 18-24개월

논리적인 조작 불가능하기에 전(前)조작기

조작: 과거 사건을 내면화시켜 서로 관련지을 수 있는 능력

①전개념적 사고기; 2-4세

-개념이란 사물의 특징이나 관계, 속성에 대한 생각인데, 아직 사물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잡히지 않는 상태다.

  

▶상징적 사고

-언어능력과 상상력이 풍부해지면서 정신적 표상, 지연모방, 상징놀이 등이 활성화.

-가상놀이: 가상적인 사물이나 상황을 실제 사물이나 상황으로 상징화하는 놀이.

(소꿉놀이, 병원놀이, 학교놀이 등) 


▶자기중심적 사고

-유아는 우주의 모든 현상을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는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다른 사람도 좋아하고, 자신이 느끼는 것을 다른 사람도 느끼며,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엄마에게 제가 좋아하는 인형을 선물함/ 제가 술래를 보지 못하면 술래도 자기를 볼 수 없다고 생각하고 머리만 가림)

-자신의 왼손/오른손은 구별하지만 맞은편 사람의 왼편/오른편은 구별하지 못한다.

(춤을 가르치는 교사는 반대편 손을 들고 가르쳐야 한다)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할수 없기 때문에 비롯된 행동이다.

(탁자에 세 개의 서로 다른 산을 놓고 맞은 편에 인형을 앉히고 본 것을 이야기 하라 하면, 자신이나 인형이나 똑같은 것을 보았으리라 생각함)

-대화시 의사소통을 하지 않고 독백처럼 자신의 말/관심사만 한다.


▶물활론적 사고

-생명이 없는 대상에게 생명과 감정을 준다.

-종이를 자르면 종이가 아플 것이며, 해가 지는 것은 해가 화가 나서 그런 것이고, 책꽂이에서 바닥에 떨어진 책은 다른 책과 함께 있기 싫어서라고 생각한다. 탁자에 부딛쳐 넘어진 아이가 탁자를 때리며 때찌 하는 것, 인형에게 전화받으라고 하는 것 등


▶인공론적 사고

-유아는 세상의 모든 사물이나 자연현상이 사람의 필요에 의해서 자신의 목적에 맞도록 쓰려고 만들어진 것이라 믿는다.

-집이나 교회처럼 해와 달도 우리를 비추게 하기 위해 사람들이 하늘에 만들었다고 생각함.


▶전환적 추론

-인과개념과 관련하여, 성인은 귀납/연역적 추론을 한다. (개별적 사실<=>일반적 원리)

-특정사건에서 특정 사건을 추론하는 것-전환적 추론

(내가 아직 자지 않았음->아직도 ‘낮’/ 내가 동생을 미워함->동생이 아픔)


②직관적 사고기; 4-7세

사물의 두드러진 속성을 바탕으로 직관에 의해 사물을 파악하는 시기


▶보존개념

-외양이 바뀌어도 그 속성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같은 양의 물을 길고 좁은 그릇에 담은 것을 낮고 넓은 그릇에 담긴 것보다 많다고 생각

-수의 보존개념은 5-6세/길이는 6-7세/무게, 액체, 질량, 면적은 7-8세/부피는 11-12세에 보존개념이 획득된다.


▶유목포함

-전체와 부분의 관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빨강 장미 10송이, 노랑 장미 5송이를 보여주고 “빨강장미가 많은지 그냥 장미가 많은지 물으면 빨강장미라고 답한다. 장미라는 더 큰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채, 장미 색깔의 자각된 특성만 고려한다.


▶서열화

-길이가 다른 막대기를 여럿 주고 짧은 것부터 나열해 보라고 하면, 3-4세는 차레대로 나열하지 못하고, 5-6세는 앞의 몇 개 일부만 가능하다.



(3) 구체적 조작기; 7-12세


①보존개념

-물체의 외형상 변화가 있더라도 이것에서 빼거나 더하지 않으면 그 물체의 특정한 양은 변함이 없다는 생각이 가능하다.

-폭과 넓이가 다른 두 잔의 물의 양이 같다는 사실을 알게 됨

▶가역성: 변화의 과정을 역으로 밟아가면 원상태로 회복됨을 알게 됨

▶보상성: 높이의 감소가 폭이라는 차원으로 보상됨을 알게 됨

▶동일성: 어떤 방법으로든 더하거나 빼지 않으면 양이 동일함을 알게됨 


②조망수용

-자기중심성의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의 입장, 감정, 인지 등을 추론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김.

-여아의 감정 조망 능력이 남아보다 높다.


③유목화

-물체를 한가지 속성이나 두개 이상의 속성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김


④서열화

-사물을 영역별로 차례대로 배열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한다.



(4) 형식적 조작기; 청(소)년기


①추상적 사고

-눈에 보이는 구체적 사실을 보여주지 않아도 구두 제시만으로 추상적 개념을 통해 사물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예: A>B이고 B>C이면 A>C다.)


②가설적 연역적 사고

-일련의 가설을 세워 차레대로 실험하며 스무고개 놀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③체계적 조합적 사고

-아동은 시행착오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지만, 청년은 사전에 계획을 세우고 체게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학자적 태도를 갖는다.


④이상주의적 사고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구체적 사실에 한하여 제한된 사고를 하지만, 청년기에는 자신과 타인에게 이상적인 것에 대하여 사고하기 시작한다.

(자신과 부모에 대한 이상형에 대한 고민/미래의 가능성 상상)

 

 
John Lennon - Oh My Love
Oh my love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My eyes are wide open
Oh my love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My eyes can see
I see the wind
Oh I see the trees
Everything is clear in my heart
I see the clouds
Oh I see the sky
Everything is clear in our world
Oh my love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My mind is wide open
oh my lover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My mind can feel
I feel the sorrow
Oh I feel dreams
Everything is clear in my heart



출처 : 인디고 유니콘
글쓴이 : 봄날isu 원글보기
메모 :